2025.02.05 - [재료탄소성학] - 재료탄소성학 [15]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
재료탄소성학 [15]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
2025.02.04 - [재료탄소성학] - 재료탄소성학 [14] Resolved Shear Stress 재료탄소성학 [14] Resolved Shear Stress2025.02.04 - [재료탄소성학] - 재료탄소성학 [13] 보충) Plastic Deformation의 통계적 해석 재료탄소성학
mayunchem.tistory.com
물질의 Strengthing을 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개가 있다.
첫째는 doping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Soft와 Hard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번 시간에는 Strengthening과 관련된 Strong/ Weak Obstacle에 대해 알아보자.
Obstacle
Obstacle이란,
Dislocation의 이동(=Gliding)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장애물로는 Grain boundary가 있다.
이러한 Obstacle에는 크게 strong과 weak로 나누어질 수 있다.
Strong Obstacle
Strong Obstacle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매우 강한 장해물이다. 이러한 장애물에서는 dislocation이 쉽게 뚫지 못하고 즉, 이동이 어렵다.
이들은 강하게 pinning하여 slip이 잘 일어나지 않고, strengthening 정도가 크며, 소성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Weak Obstacle
이들은 약한 장애물로, 힘을 주면 dislocation이 쉽게 뚫고 이동할 수 있는 장애물이다.


이때, 동일 조건에서 A보다 B 물질의 bending angle이 작을 수록 더 큰 힘을 줘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strong Obstacle에서 bending angle이 거의 0에 가까운 것이다.

'학교 수업 > 재료탄소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탄소성학 [18]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0) | 2025.02.05 |
---|---|
재료탄소성학 [17] Boundary Strengthening, Microscopic Yield Point (0) | 2025.02.05 |
재료탄소성학 [15]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 (0) | 2025.02.05 |
재료탄소성학 [14] Resolved Shear Stress (0) | 2025.02.04 |
재료탄소성학 [13] 보충) Plastic Deformation의 통계적 해석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