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공학 [1] 전자기학의 기초 (1) 전하, 전류, 전자기장, 전위, 저항, 이동도
·
학교 수업/반도체 공학
반도체 공학에 대하여 알기 전, 가장 먼저 전자기학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기본 단위들을 알 필요가 있다. 이번 시간에는 전자기학에서의 기초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자.  1. 전하(charge, Q) : 어떤 물질이 가지고 있는 전기의 양  전하는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전기적 성질이자, 수많은 전기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전하에는 (+) 전기, (-) 전기가 있으며 같은 극 끼리는 척력(반발력)이 존재하고, 다른 극 끼리는 인력(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한다.        2. 전류(current, I): 전하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 시간동안에 흐른 전하의 양.  이때, 전류의 방향은 이동하는 전하의 극성에 따라 결정되며 양전하의 이동방향과 같고 전자의 이동방향과는 반대가 된다.  전하는 그 자체..
전자재료개론 [1] 반도체 개론(도체, 반도체, 부도체/ 전자, 전류)
·
학교 수업/전자재료개론
반도체가 쓰이는 이유는? Semi- Conductor(반도체) 산업이 매우 유망한 이유는 무엇일까?그것은 바로 신호 전달에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전자를 신호를 보내는 주체, 전류를 단위 시간당 신호에 의해 흐르는 전자로 생각하자.즉, 전류의 값이 '크다'는 것 = 전자의 이동이 '빠르다' 가 된다.  도체의 경우 전자 이동의 path가 매우 많고, 부도체의 경우 path가 매우 적다. 즉 전자 이동의 제어가 어려워진다.(단순히 길이 많다고 제어가 쉬운 것이 아니다. 신호등이 없는 도로를 생각해보자) 그러나, 반도체의 경우에는 path가 적당량이 있다. 즉, 전자 이동의 control이 매우 쉽다. ('전자 이동'의 control이 가능 =  '신호'의 control이 가능)   위의 말이 어렵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