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4 - [재료탄소성학] - 재료탄소성학 [12] The Frankel- Read Source 정의/ 작동 원리/ 중요성
재료탄소성학 [12] The Frankel- Read Source 정의/ 작동 원리/ 중요성
2025.02.04 - [재료탄소성학] - 재료탄소성학 [11] Twinning, Kink, Stacking Fault, Super-Lattice Dislocation 재료탄소성학 [11] Twinning, Kink, Stacking Fault, Super-Lattice Dislocation2025.02.04 - [재료탄소성학] - 재료탄소성학 [
mayunchem.tistory.com
이번시간에는 가볍게 plastic Deformation의 통계적 해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는 atomic Level에서의 Deformation을 모두 합한 값이 Total plastic Deformation임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보자.
Offset
: Dislocation에 의해 나타나는 구조적 변화와 이동
위 식을 그래프로 나타내보자.
위의 그래프를 하나씩 뜯어보자.
1번의 전체 dislocation의 밀도는 shear strain 즉, 변형도가 증가할 수록 일차함수꼴로 비례하게된다.
2번의 이동가능한 dislocation의 밀도이다.
Dislocation의 밀도가 작을 때는 Gliding등의 이동이 활발하게 나타나지만, 밀도가 커질수록 jog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이동도가 감소하게된다.
3번은 1번과 2번의 곱으로 나타난다. 최대 밀도를 기준으로, strain이 작을 때에는 dislocation의 개수는 작지만 이동도는 높은 반응이 일어난다. 그러나, strain이 커지면 dislocation의 개수는 많지만, 상호작용으로 인해 이동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학교 수업 > 재료탄소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탄소성학 [15]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 (0) | 2025.02.05 |
---|---|
재료탄소성학 [14] Resolved Shear Stress (0) | 2025.02.04 |
재료탄소성학 [12] The Frankel- Read Source 정의/ 작동 원리/ 중요성 (0) | 2025.02.04 |
재료탄소성학 [11] Twinning, Kink, Stacking Fault, Super-Lattice Dislocation (0) | 2025.02.04 |
재료탄소성학 [10] Edge/ Screw Dislocation, Pile up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