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 [1] 반도체란 무엇일까?
·
반도체 공부/반도체 산업
반도체 우리 주위에서 '반도체'라는 용어는 굉장히 흔히 접할 수 있는 단어이다. 우리는 반도체를 전기 전도도에 따른 물질 분류를 통해 정의할 수 있다.  도체란 전기 전도도가 높아 전자나 정공 등의 전하가 잘 이동하는, 즉 전류가 잘 흐르는 물질을 의미한다. 흔히 볼 수 있는 구리, 철 등 모든 금속이 이 도체에 속한다. 이에 비해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물질은 부도체라고 한다. 그러나 반도체는 이 중간 정도에 있는 물질인데, 범위가 해석하기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편의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반도체라고 한다.  반도체: 순수한 상태에서는 전기가 잘 흐르지 않는 부도체의 특성을 보이나 특정한 처리(ex. 도핑)에 의해 전기 전도도가 늘어나 전류가 잘 흐르게 되는 도체의 성질도 갖는 물질  즉, 반도체는 사..
[1] MOSFET의 구조/ Energy Band Diagram
·
기타
PN junction과 MS junction에 대해 알았다면, MOSFET에 대해 알 차례이다.   MOSFET의 구조는 크게 Gate, Source, Drain으로 나눌 수 있다.  Gate는 크게 전하(정공/ 전자)의 흐름 유무를 조절하는 곳이다Source는 전하의 공급원이고, Drain은 전하가 빠져나가는 곳이다.   우리가 수도꼭지에서 물을 트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물이 흐르려면, 수도꼭지 내의 물에는 위치 에너지의 차이가 있어야한다. 이처럼, 전하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위의 차이가 존재해야한다.    그렇다면 전위차를 알아보기 위해,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Energy band diagram)에 대해 알아보자.  Energy band diagram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전자'와 '정공'의 개념에..
전자재료개론 [1] 반도체 개론(도체, 반도체, 부도체/ 전자, 전류)
·
학교 수업/전자재료개론
반도체가 쓰이는 이유는? Semi- Conductor(반도체) 산업이 매우 유망한 이유는 무엇일까?그것은 바로 신호 전달에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전자를 신호를 보내는 주체, 전류를 단위 시간당 신호에 의해 흐르는 전자로 생각하자.즉, 전류의 값이 '크다'는 것 = 전자의 이동이 '빠르다' 가 된다.  도체의 경우 전자 이동의 path가 매우 많고, 부도체의 경우 path가 매우 적다. 즉 전자 이동의 제어가 어려워진다.(단순히 길이 많다고 제어가 쉬운 것이 아니다. 신호등이 없는 도로를 생각해보자) 그러나, 반도체의 경우에는 path가 적당량이 있다. 즉, 전자 이동의 control이 매우 쉽다. ('전자 이동'의 control이 가능 =  '신호'의 control이 가능)   위의 말이 어렵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