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상변태 [12] Solidification; Homogenous Nucleation

2025. 6. 11. 19:32·학교 수업/재료상변태
728x90
반응형

 

 

재료 상변태 [11] Gibbs Phase Rule

재료상변태 [10] Ω 변화에 따른 상평형도의 변화2025.04.10 - [학교 수업/재료상변태] - 재료상변태 [9] Isomorphous 합금에서 평형 냉각 & Gibbs Free Energy 재료상변태 [9] Isomorphous 합금에서 평형 냉각 & Gibbs

mayunchem.tistory.com

 

1. Solidification

 

자세한 내용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고체화는 크게 2가지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Solidification = Nucleation + Growth

 

 

이때의 Nucleation 역시 2가지의 유형으로 다시 나눌 수 있는데, 바로 Homogenous Nucleation과 Heterogenous Nucleation이다.

 

Nucleation
Homogenous Nucleation
: 초기 고체 상의 씨앗을 형성 하는 단계 내부에서 고르게 핵이 생기는 것
Heterogenous Nucleation
불순물, 입자 경계, 용기 벽 등 구조적 불균일성에서 핵이 생기는 것.
Growth  
: 형성된 핵이 주변 액체로부터 원자를 만들며 성장하는 단계

 

 

1-1. Pure Metal과 Solid Solution에서의 Solidification

왼) Pure metal의 Solidiication Curve 오) Solid Solution Alloy의 Solidication Curve

 

Solid Solution의 경우 서로 다른 조성에서 액체와 고체가 공존하기 때문에, 응고 중 고체와 액체의 조성이 계속해서 변해 일정 온도에서 Solidification이 일어나지 않는다.

 

Pure Metal의 경우 Tm에서 Solid와 Liquid가 같은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운동 에너지는 같지만 위치 에너지가 다르다.(고체 상태는 원자들이 더 조밀하게 배열되어 더 낮은 위치 에너지 상태이다.) 이러한 위치 에너지의 차이가 열역학적 추진력의 기초가 된다.

 

2. Solidification의 구동력

그렇다면 어떤 것이 Solidication을 일으킬까? 바로 자유 에너지의 차이이다.

 

T= Tm일때, △G = 0으로 평형 상태이기 때문에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T<Tm일때, △G = G_l- G_s < 0 으로, 액체보다 고체가 더 안정하기 때문에 이때의 자유 에너지의 차이가 응고를 유도하는 Driving Force가 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1. Solidification의 구동력 공식

구동력의 공식을 살펴보자.

이전에 Solidification의 구동력은 자유 에너지라고 했기 때문에 자유 에너지에 대한 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왜 이러한 형태의 식이 나오는 지 유도해보자.

 

 

우리는 이러한 구동력 식의 유도를 통해 과냉(undercooling)과 Gibbs Free Energy의 직접적인 관계를 알 수 있다.

 

 

3. Solidification에서 고려해야 할 3가지의 에너지

 Solidification에서 고려해야할 에너지 3가지를 살펴보자.

 

 

1. Bulk Gibbs Free Energy

: 액체에서 고체로 바뀌며 계 전체의 자유 에너지가 감소하며 생기는 term이다.

 

2. Interfacial Energy

: 고체- 액체 경계면 생성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다.

 

3. Strain Energy

: 체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

 

 Strain Energy의 경우에는 L → S인 경우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S→S'인 경우에는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격자 상수가 다르기 때문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4. Homogenous Nucleation

 위에서 말한 에너지 1,2번과 자유 에너지의 변화를 고려해 Homogenous Nucleation과 관련된 공식을 작성하고 그래프로 나타내보자.

 

 

여기서 Gibbs Free Energy는 (-)의 값을, 표면 에너지 term은 (+) term을 가진다.

이를 이용하여 다시 그래프로 표현해보자.

 

 이때 r의 값에 따라 (r= r* 기준) Gibbs Free Energy가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을 r* 까지 키우지 않으면 nucleation이 되지 않고 사라지고, r이 r*보다 크거나 같아지면 nucleation이 이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1. Homogenous Nucleation에서의 r*와 G*

 이때의 LIMIT 값인 r*와 G*를 구해보자.

 

  r*은 그래프 상에서 기울기가 0인 지점이며, 이때 구한 r*를 위의 Homogenous Nucleation에 넣으면 G*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전에 자유 에너지에 대한 공식에서 △Gv가 △T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다뤘었다.

그러면, △T가 r*와 G*에도 영향을 줄까?

온도가 다른 두 개의 상황에서의 그래프를 비교해보자.

T1 > T2이기 때문에 △T1< △ T2이다. 이를 고려해 그래프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T가 클수록, Nucleation에 유리하다는 것을 정성적인 방법으로도 알 수 있다. 바로, Nucleation이 어떻게 이뤄지는 지 살펴보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하다..

 

 

Nucleation이 어떻게 일어날까?

 

 순간적으로 Random하게 모인 liquid atom들의 수가 덜 필요할 수록 nucleation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작은 r은 쉽게 생성되지만, r*이 커질수록 random하게 crystalline 구조를 모방하기 어려워 드물게 생성된다.

 

 따라서, △T가 커질 수록 필요한 반지름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형성 확률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5. Nucleation Rate (I)

Nucleation Rate (I)
: 시간 당 생성되는 핵의 수

 

Nucleation Rate의 식을 써보면 다음과 같다.

 

Nucleation Rate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2가지의 요소가 필요하다.

 

1) N* (임계 크기 이상의 핵의 수)

 

2) v' (임계 이상이 되는 빈도 수)

 

따라서, Nucleation Rate (I)는 이 두 가지를 곱한 값이다.

 

5-1. Temperature와 Nucleation Rate

Nucleation Rate를 Temperature에 대한 그래프로 그려보자.

온도가 Tm과 0[K] 중간에서 가장 높은 Nucleation Rate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가 Tm에서는 과냉이 없기 때문에 I= 0이지만, T= 0K일때는 원자의 이동이 없어 I=0이 되므로 이 사잇값에서 가장 Nucleation Rate가 높다.

728x90
반응형

'학교 수업 > 재료상변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상변태 [12] Solidification; Heterogenous Nucleation  (0) 2025.06.12
재료 상변태 [11] Gibbs Phase Rule  (0) 2025.06.11
재료상변태 [10] Ω 변화에 따른 상평형도의 변화  (0) 2025.05.01
재료상변태 [9] Isomorphous 합금에서 평형 냉각 & Gibbs Free Energy  (0) 2025.04.10
재료상변태 [8] 온도와 Gibbs Free Energy, Liquidus Line / Solidus Line, Lever Rule, 조성의 표현 방법  (0) 2025.04.10
'학교 수업/재료상변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재료상변태 [12] Solidification; Heterogenous Nucleation
  • 재료 상변태 [11] Gibbs Phase Rule
  • 재료상변태 [10] Ω 변화에 따른 상평형도의 변화
  • 재료상변태 [9] Isomorphous 합금에서 평형 냉각 & Gibbs Free Energy
크롱크롱 Chem
크롱크롱 Chem
신소재 이야기
  • 크롱크롱 Chem
    크롱크롱 Chem
    크롱크롱 Chem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 반도체 공부 (44)
        • 반도체 산업 (4)
        • 반도체 공정 (29)
        • 반도체 소자 (11)
      • 학교 수업 (66)
        • 재료탄소성학 (21)
        • 반도체 공학 (6)
        • 박막공학 (11)
        • 결정 구조 및 분석 (10)
        • 전자재료개론 (5)
        • 재료상변태 (13)
      • SK 하이닉스 뉴스룸 (5)
      • SK 청년하이포 6기 (2)
        • 합격수기 (2)
        • 수업 내용 (0)
      • 뉴스 (14)
      • 학부연구생 (0)
      • AMK (4)
        • CVD (4)
      • 기타 (1)
      • 강의 필기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bypass
    coherent boundary
    전자
    플라즈마
    pvd
    전류
    분해능
    stress
    AMK
    CMP
    CVD
    ELASTIC
    Strain
    gliding
    MOSFET
    Climbing
    TSMC
    이동도
    하이포
    건식 식각
    SIO2
    응력
    openAI
    무어의 법칙
    정공
    반도체
    dc 플라즈마
    딥시크
    Bowing
    hypo
  • 최근 댓글

  • 최근 글

  • 250x250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크롱크롱 Chem
재료상변태 [12] Solidification; Homogenous Nucleation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