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상변태 [2] Gibbs Free Energy

2025. 3. 17. 16:23·학교 수업/재료상변태
728x90
반응형

 

상변태 Thermodynamics 자발성/ stable/ 구동력의 크기 (gibbs free Energy)
Kinetics 얼마나 '빠르게' 일어나는가?

 

 

1. Gibbs Free Energy

△Ga: 열처리(Annealing)으로 recrystallization

 

이때,  △g가 클수록/ T가 작을수록 Energy Barrier를 넘기 힘들다.

 

 

이러한, gibbs Free Energy 식은 구동력에 대한 고려는 있지만, 얼마나 '빠르게' 일어나는 지에 대한 kinetic적인 요소는 고려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시를 살펴보자.

예1) Diamond vs. Graphite
 흑연의 △g가 더 낮지만, diamond에서 graphite로 가는 반응이 엄청나게 느리다.

예2) Wood vs. Burn Wood
 연소된 나무의 △g가 더 낮지만, 나무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Energy(spark, heat)가 필요하다.

예3) 음식의 부패
: 낮은 온도인 냉장고 안에서는 kinetic rate가 낮다.

 

 

이 중에서, Diamond에서 Graphite로 가는 반응에 대해 살펴보자.

 

2. Diamond → Graphite 반응

△g_298 = △ H_298 - T△S_298 은 항상 0보다 작다. 즉, 이 반응은 항상 자발적이므로, 무조건 graphite가 diamond보다 안정하다는 뜻이다.

 

 위 식에서 추가로 알 수 있는 것은 T(온도)가 높으면 △g가 낮은데, 즉, 열역학적으로 온도가 높으면 구동력이 커질 뿐 아니라 Kinetic적으로도 유리하다.

Kinetic Rate

 

 Diamond와 Graphite 사이의 Gibbs Free Energy차이를 구해보자.

 

 diamond에서 Graphite로 갈때 △g가 0보다 작다. 그러나 이 둘의 혼성 오비탈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강한 bond의 배열을 바꾸는데, 추가적인 Energy가 반드시 필요하다. 만일 이 E를 적게 투입해도 bond를 바꾸고 싶으면 촉매를 넣어줘야한다.

 

 

 dG = VdP - SdT라는 gibbs Free Energy 식을 적분해보자.

그러면, P와 T에 대한 변수로 나타낼 수 있다.

 

Pressure(P)가 증가하면 앞에 +가 붙어있으므로, Diamond에서 Graphite로 가는 △g가 더 커진다. 즉, Energy Barrier가 더 커진다는 말로 diamond가 더 안정하다.

 

 Temperature(T)가 증가하면, Diamond에서 Graphite로 가는 △g가 작아진다. 즉, Energy Barrier가 낮아져 Graphite가 더 안정해진다.

 

 

728x90
반응형

'학교 수업 > 재료상변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상변태 [6] Chemical potential과 Activity/ Activity Coefficient  (0) 2025.04.08
재료상변태 [5] Binary System에서 Ideal solution과 Regular Solution  (0) 2025.04.07
재료상변태 [4] Heat Capacity(열용량), Enthalpy(엔탈피), Entropy(엔트로피), Gibbs Free Energy  (0) 2025.03.19
재료상변태 [3] 열역학 제 0법칙/ 1법칙/ 2법칙/ 3법칙  (1) 2025.03.18
재료상변태 [1] 상, Martensite, Meta-Stable, 열처리 방식을 통한 microstructure의 변화  (0) 2025.03.17
'학교 수업/재료상변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재료상변태 [5] Binary System에서 Ideal solution과 Regular Solution
  • 재료상변태 [4] Heat Capacity(열용량), Enthalpy(엔탈피), Entropy(엔트로피), Gibbs Free Energy
  • 재료상변태 [3] 열역학 제 0법칙/ 1법칙/ 2법칙/ 3법칙
  • 재료상변태 [1] 상, Martensite, Meta-Stable, 열처리 방식을 통한 microstructure의 변화
크롱크롱 Chem
크롱크롱 Chem
신소재 이야기
  • 크롱크롱 Chem
    크롱크롱 Chem
    크롱크롱 Chem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 반도체 공부 (44)
        • 반도체 산업 (4)
        • 반도체 공정 (29)
        • 반도체 소자 (11)
      • 학교 수업 (66)
        • 재료탄소성학 (21)
        • 반도체 공학 (6)
        • 박막공학 (11)
        • 결정 구조 및 분석 (10)
        • 전자재료개론 (5)
        • 재료상변태 (13)
      • SK 하이닉스 뉴스룸 (5)
      • SK 청년하이포 6기 (2)
        • 합격수기 (2)
        • 수업 내용 (0)
      • 뉴스 (14)
      • 학부연구생 (0)
      • AMK (4)
        • CVD (4)
      • 기타 (1)
      • 강의 필기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bypass
    CVD
    딥시크
    CMP
    ELASTIC
    전자
    pvd
    응력
    건식 식각
    이동도
    분해능
    Climbing
    SIO2
    hypo
    Strain
    Bowing
    openAI
    coherent boundary
    하이포
    TSMC
    AMK
    gliding
    dc 플라즈마
    전류
    MOSFET
    무어의 법칙
    플라즈마
    반도체
    stress
    정공
  • 최근 댓글

  • 최근 글

  • 250x250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크롱크롱 Chem
재료상변태 [2] Gibbs Free Energy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